■우리고장 출신 한국화‧수묵담채화가 홍성모 화백 십승지 몽유부안도[13] 직소보가 보이는 내변산 –내변산 줄기는 흘러흘러 서해로- 변산은 숲과 꽃, 바위와 냇물이 예사롭지 않아 나에게는 작품 구상에 대한 많은 영감을 주기에 자주 내변산에 오른다. 모진 세월을 겪어내고도 말없이 그 자리에 그냥 말없이 보여주듯이 앉아 있는 여인처럼 중후하고 정갈하다. 옛 선인들도 변산을 일러 산이 겹겹이 쌓여 골이 깊고 그윽하다 하였고, 깎아지른 듯 높고 가파른 바위가 가히 절경이라 하였다.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도 많은 봉우리와 골짜기는 우리나라의 십승지(十勝地)의 하나라고 까지 강조했다. 이 작품은 월명암에서 사자동 자연보호 헌장탑의 코스로 내려가는 산행의 중간지점에서 그린 작품이다. 선인봉이 보이는 너럭바위에 앉아 휴식하며 담아 본 풍경으로 그림의 우측으로 직소폭포에서 내려오는 물을 담아 놓는 직소보가 보인다. 작품 우측 끝에 보이는 산이 관음봉으로 올라오라 손짓하는 듯하다.
최종편집: 2025-05-12 18:40:57
최신뉴스
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
실시간 추천 뉴스
교육/문화
읍.면 네트워크
가장많이본뉴스
제호 : 부안서림신문 본사 : 전북 부안군 부안읍 번영로 177(2층) Tel : 063-583-7070 팩스 : 063-584-7071 e-mail : buannews@hanmail.net
발행인 : 이석기 편집인 : 이석기 청소년보호책임자 : 이석기 청탁방지담당관 : 이석기 개인정보관리책임자 : 이석기
Copyright 부안서림신문 All rights reserved.